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39)- ' 일상생활로 깊게 파고든 퍼스널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시장이 8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며 급팽창 기로에 선다. 70년대가 컴퓨터에 대한 무지가 보편적인 시기였다면, 80년대 초는 기업에서 사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컴퓨터를 인식하는 데까지 발전한다. 그러던 것이 83~84년을 기점으로 교육용PC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일대 전환의 시기를 갖는다. 일반 가정 생활용품으로 PC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 자녀 교육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열성적인 태도를 보이는 어머니는 물론이고 미술학원이나 음악학원에 다니던 아이들도 새로운 컴퓨터라는 대상에 관심을 갖게 된다. 때를 맞추어 각 회사들은 시골장터에서 약장사가 만병통치약을 팔 듯 앞을 드투어 '만능컴퓨터'의 선전에 열을 올리기 시작한다. 컴퓨터를 한 대 사다 놓으면 가계부 정리도 척척, 아이들 성적도 쑥쑥 올라가리라는 생각에 너도 나도 컴퓨터를 들여놓는 집이 늘어갔다. 실제로 84년 10월말 업체별 판매대수를 보면 금성 2만6천대, 삼성 2만5천대, 대우 1만5천대, 삼보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